구름은 구가 아니요, 산은 원뿔이 아니다. 만델브로트(1924~) |
|
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
2 닮음의 활용 |
|
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
|
피라미드와 같이 높은 건물이든 방금 싹이 튼 조그만 풀이든 같은 태양 아래에서 잰 높이에 대한 그림자 길이의 비는 항상 일정하다.
이러한 원리는 삼각형의 닮음의 성질에서 알 수 있고, 또 그 성질을 이용하면 피라 미드의 높이를 알 수 있다.
닮음의 성질은 항해하는 배에서 멀리 뭍에 있 는 등대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게 해 주고, 터널 을 뚫을 때에도 보이지 않는 곳을 향하여 방향을 정할 수 있게 해 준다.
|
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
|
|
|
|||||||||||||
□ 206 Ⅷ. 도형의 닮음 |
2-1 삼각형의 무게중심 2-2 닮음의 활용 |
|
|
|
|
|
● 닮음을 활용하면 멀리 있는 것도 알 수 있다. |
|
|
|
|
2. 닮음의 활용 261 □ |
2 |
|
|
|
||
1 |
삼각형의 무게중심 |
⇋ 익힘책 287쪽~289쪽 |
|||
|
|
|
|||
새로운 용어 중선・무게중심 |
학습 목표 삼각형의 무게중심의 뜻과 성질을 이해한다.
|
||||
|
받침점까지의 거리의 비를 잘 맞추면 무거운 사람과 가벼운 사람이 같이 시소를 즐길 수 있듯 이, 모든 물체는 중심을 잘 잡으면 균형을 이룰 수 있다. 손가락을 이용하여 책받침, 쟁반 등을 돌릴 때, 손가락을 물건의 어디에 두어야 떨어뜨리지 않고 잘 돌릴 수 있을까?
|
||||
|
|
||||
|
|
삼각형의 무게중심 |
|
||
|
|
||||
|
아래 그림과 같이 두꺼운 종이로 삼각형을 만들어 다음 순서로 실험하여 보자. 이때, 집게의 한쪽 손잡이에 실을 위아래로 충분히 길게 매어 아래쪽 끝에는 추를 달아 놓는다.
➊ 집게를 삼각형의 한 꼭짓점에 물린다. 이때, 위쪽의 실을 들어 삼각형과 추가 자연 스럽게 아래로 쳐지도록 한다. ➋ 추를 달아 놓은 실이 지나는 자리를 삼각형 위에 표시한다.
실험 1 실과 삼각형의 각 변이 만나는 점은 각 변의 중점인지 조사하여 보자.
실험 2 삼각형에 표시한 세 선분이 한 점에서 만나는지 조사하여 보자.
실험 3 실험 2에서 찾은 점에 연필을 대고 삼각형을 들어 삼각형이 평형을 유지하는 지 조사하여 보자.
|
||||
|
수학 실험에서 보았듯이 추를 단 실은 각 변의 중점을 지남을 알 수 있다. 이와 같이 삼각형에 서 한 꼭짓점과 그 대변의 중점을 연결한 선분을 중선이라고 한다. |
||||
|
|
||||
□ 262 Ⅷ. 도형의 닮음 |
|
수학 실험에서 삼각형의 세 중선이 한 점에서 만나고, 이 점을 중심으로 삼각형을 들어 올리면 평형을 이루는 것을 살펴보았다. 이제, 삼각형의 세 중선은 한 점에서 만남을 증명하여 보자.
|
|
|
|
|
|
|
삼각형의 세 중선은 한 점에서 만나고, 이때 이 점은 세 중선의 길이를 꼭짓점으로부터 각각 눈다는 것을 증명하여라.
중선
하여 이다. 따라서
한편, 오른쪽 그림과 같이 중선 이다. 따라서 점이므로 그러므로 삼각형의 세 중선은 한 점에서 만나고, 이 점은 세 중선의 길이를 꼭짓점
|
|
|
|
|
예제 1에서 알 수 있듯이 삼각형의 세 중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. 이 점을 그 삼각형의 무게중심이라고 한다. 이상에서 다음을 알 수 있다. |
|
|
|
|
|
|
|
|
||
2. 닮음의 활용 263 □ |
|
각각 중선일 때,
|
|
|
|
|
문제 |
다.
|
|
|
|
|
문제 |
다. 구하여라. (1)
|
|
|
|
|
대각선 삼등분하기 |
|
평행사변형
교점을 각각 임을 증명하여라. 증명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대각선 AC와 BD의 교 점을 의 한 중선이다. 따라서 점
또 이다. 그런데 평행사변형의 성질에서
|
|
||
□ 264 Ⅷ. 도형의 닮음 |
문제
|
선 고 할 때, 임을 증명하여라.
|
||
|
|
||
|
|
|
1 다음 ( ) 안에 설명이 옳으면 ○표, 옳지 않으면 ×표를 하여라. (1) ( ) 삼각형을 한 중선으로 잘라 생긴 두 개의 삼각형은 서로 닮은 도형 이다. (2) ( ) 삼각형을 세 중선으로 잘라 생긴 여섯 개의 삼각형의 넓이는 모두 같다. 2 오른쪽 그림에서 점 다. 이를 구하여라.
구하여라. |
|
|
||
함께 하는 수학 여행 아르키메데스 |
모든 물체에는 무게중심이 있다 아르키메데스(B.C. 287
그는 삼각형을 가는 막대들을 쌓은 것으로 생 각한다면, 각 막대의 무게중심은 자신의 한 가운 데에 있으므로 삼각형의 무게중심도 각 막대의 무게중심을 연결한 선, 즉 중선 위에 있다는 것 을 알아내었다. 그러므로 삼각형의 무게중심은 중선들의 교점이다.
<참고 문헌:셔먼 스타인, 이우영 역(2006), 아르키메데스, 경문사> |
||
|
|
||
2. 닮음의 활용 265 □ |
2 |
|
|
|
|||
2 |
닮음의 활용 |
⇋ 익힘책 290쪽~291쪽 |
||||
|
|
|
||||
|
학습 목표 · 닮음비를 이용하여 닮은 도형의 넓이와 부피를 구할 수 있다. · 닮음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|
|||||
|
||||||
수학자들은 닮음의 성질을 이용하여 그림자를 보고 피라미드의 높이를 계산하였으며, 강을 건너지 않고도 강의 너비를 알아내었다. 또 지구의 크기나 어느 지점의 위도는 물론 지구로부터 해와 달까지의 거리도 계산해 내었다.
|
||||||
|
||||||
|
|
닮은 도형의 넓이의 비 |
|
|||
|
|
|||||
|
|
아래 그림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
❲1 단계❳ ❲2 단계❳ ❲3 단계❳
|
||||
|
오른쪽 그림은 모눈종이에 직사 각형
것이다. 이때, 다음을 알아보자.
탐구 1 직사각형 길이의 비와 세로의 길이의 비를 각각 구하여 보자.
탐구 2 직사각형
탐구 3 직사각형
탐구 4 직사각형 |
|||||
|
|
|||||
|
|
|||||
|
탐구 활동에서 직사각형 는 직사각형 |
|||||
|
|
|||||
□ 266 Ⅷ. 도형의 닮음 |
|
일반적으로 닮은 두 도형의 넓이의 비는 닮음비의 제곱과 같음을 알 수 있다. 따라서 다음을 얻는다. |
||
|
|
||
|
|
오른쪽 그림의 두 사각형 비가 넓이가 구하여라. |
|
풀이 사각형 를 따라서 사각형
|
|||
|
|
||
|
의 넓이를 구하여라.
|
||
|
|
||
|
색 부분의 넓이가 이를 구하여라.
|
||
|
|
||
|
|
에 갔더니, 메뉴판이 오른쪽과 같 았다. 피자는 모두 두께가 같은 둥근 원 모양이라고 할 때,
하는 것이 양이 더 많겠는가? 아니면 중간 판 하나와 작은 판 하나를 주문하는 것이 양이 더 많겠는가? |
|
|
|
||
2. 닮음의 활용 267 □ |
|
|
닮은 도형의 부피의 비 |
|
|
|
||
|
|
||
|
|
||
|
다음 그림은 직육면체 모양의 블록
탐구 1 직육면체 구하여 보자.
탐구 2 직육면체
탐구 3 직육면체
탐구 4 직육면체
|
||
|
|
||
|
탐구 활동에서 직육면체 는 블록 므로 직육면체 일반적으로 닮은 두 입체도형의 부피의 비는 닮음비의 세제곱과 같음을 알 수 있다. 따라서 다음을 얻는다.
|
||
|
|
||
□ 268 Ⅷ. 도형의 닮음 |
|
|
오른쪽 그림의 두 원기둥 인 닮은 도형이다. 원기둥 때, 원기둥
풀이 원기둥 이다. 이때, 원기둥 따라서 원기둥
|
|
|
|
문제 |
(1) 한 모서리의 길이가 각각 두 정육면체
(2) 지름의 길이가 각각
|
|
|
|
|
문제 |
된 청동의 양이 닮음비가 때 사용되는 청동의 양은 얼마인가?
|
|
|
|
|
|
반까지 물이 담겨 있다. 담긴 물의 양이 이 그릇을 가득 채우려면, 더 부어야 하는 물의 양은 얼 마인가?
|
|
|
|
|
2. 닮음의 활용 269 □ |
|
|
닮음의 활용 |
|
|
|
|
|||
|
|
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탈레스는 지팡이와 피라미드의 그림자 길이를 이용하 여 피라미드의 높이를 알아내었다고 한다.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?
|
||
|
|
|||
빛은 평행하게 들어온다. |
햇살이 좋은 어느 날 정오에 현수의 그림자 길이 와 나무의 그림자 길이를 조사하였더니 각각
오른쪽 그림을 보고, 다음 을 알아보자.
탐구 1
탐구 2
탐구 3 다음
|
|||
|
|
|||
|
탐구 활동에서 와 이고, 따라서 나무의 높이는 이와 같이 닮은 도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생활 속에서 직접 측정하기 어려운 건물이나 나무의 높이 등을 구할 수 있다. |
|||
|
|
|||
|
하기 위하여 석탑으로부터 진 거리에 높이가 로 세웠더니 막대 그림자의 끝이 석탑의 그림자의 끝과 일치하였다. 막대의 그림 자 길이가 |
|||
|
|
|||
□ 270 Ⅷ. 도형의 닮음 |
|
|
|
강의 실제 폭은 얼마인가?
|
|
|
|
|
|
|
|
|
|
음에 답하여라. (1) 큰 도형의 둘레의 길이는 작은 도형의 둘레의 길이는 몇 배인가? (2) 큰 도형의 넓이는 작은 도형의 넓이의 몇 배인가? 2 오른쪽 두 닮은 입체도형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. (1) 큰 도형의 겉넓이는 작은 도형의 겉 넓이의 몇 배인가? (2) 큰 도형의 주피는 작은 도형의 부피 의 몇 배인가?
|
|
|
|
|||
|
|
물체가 식으면서 발산하는 열은 물체의 겉넓이와 관련 있다. 닮음비가 인 두 통 속에 뜨거운 물이 가득 들어 있다고 하자. 이때, 두 통의 겉넓이의 비 는 데에는 작은 통 속의 물이 식는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알 수 있 다. 서로 닮은 입체도형이라 하더라도 겉넓이에 대한 부피의 비가 달라 여러 가지 다른 현상이 생긴다. 사람이나 동물은 활동하기 위하여 에너지를 만들고, 이 과정에서 열을 발산하게 된다. 사람이 만들어 내는 에너지는 몸의 부피와 관련 있고, 열은 피부를 통하여 발산된다. 일반적으로 추운 곳에서 어린이와 어른 중 누가 추위를 더 많이 느낄까? |
||
|
||||
|
|
|||
2. 닮음의 활용 271 □ |
|
|
|
|
|
|||
1. 도형의 닮음에서 배운 내용을 그림으로 정리하여 보자.
|
|||
수행 과제 |
|||
|
|||
|
|||
□ 272 Ⅷ. 도형의 닮음 |
|
|
|
|
함께 하는 수학 여행
자기 자신과 닮은꼴 곡선
데카르트(1596 나방이 불을 향하여 맴도는 곡선, 조개나 해바라기, 코끼리 이빨에도 나타난다. 등각와선은 원점 주위를 돌면서 원점으로부터 거리가 일정한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곡선인데, 등각와선은 이 비율에 의하여 하나로 정해진다. 중세의 베르누이 집안에는 많은 천재들이 태어났는데, 그 집안의 야콥 베르누이(1654~1705)는 등각와선을 확대경으로 계속 확대하여도 여전히 자신과 합동이고, 그냥 빙글빙글 도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. 즉, 등각와선은 자기 자신과 닮은꼴인 곡선이다.
베르누이는 이러한 등각와선이 여러 생명체에 나타남을 알고 이 곡선들을 ‘기적의 와선’이라고 불렀다. 앵무조개 해바라기 와선 성운 태풍의 눈
그는 자신의 묘비에 이 와선을 그려 주기를 원하였지만, 스위스의 바젤에 있는 묘비에는 아르키메데스 (B.C.287~B.C.212)의 와선이 그려져 있다.
야콥 베르누이의 묘비 아르키메데스의 와선 |
|
||
|
|||
함께 하는 수학 여행 273 □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