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|||
2 상대도수와 누적도수 |
|||
여러 자료를 조사하여 만든 도수분포표를 이해하려고 할 때, 선거 투표율, 야구 타율, TV 시청률 등과 같이
각 계급의 도수 자체보다는 전체 도수에 대한 비율이 더 의미가 있는 경우가 있다.
특히, 도수의 합계가 서로 다른 집단의 자료를 비교할 때에는 더욱 그러하다. |
|||
수학 역사의 흐름 |
|||
|
|||
![]() ● 기준이 다르면 의미도 다르다. |
2 |
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1 |
상대도수 |
⇋ 익힘책 191쪽~ 192쪽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새로운 용어 상대도수
|
학습 목표 상대도수의 분포를 이해하고, 이를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.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인구가 서로 다른 마을의 연간 환자 수를 단순히 비교하여 어느 곳에 환자가 더 많다거나 적다고 하는 것보다 발병 비율을 각각 구하여 비교하는 것이 더 의미 있다.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상대도수 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원그래프는 전체에 대한 각 부분의 비율을 원에 나타낸 그래프이다. |
아래 표는 씀씀이네 가족이 재작년과 작년에 지출한 금액과 총 지출에 대한 항목별 지출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. 다음을 알아보자.
탐구 1 위 표를 완성하여 보자.
탐구 2 위 표에서 연간 지출 비율을 원그래프로 나타내어 보자.
탐구 3 재작년에 비하여 작년의 지출액은 늘어났지만, 지출 비율이 감소한 것에는 어떤 항목들이 있는가?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□ 180 Ⅴ. 통계 |
독서량이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이다. |
탐구 활동에서 교육, 문화비와 기타 비용에 대한 작년 지출액은 재작년 지출액보다 백만 원씩 더 증가했지만,
그 비율은 각각 0.01, 0.02씩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.
이제, 상대도수의 분포와 그 특징을 알아보자.
[표 1]에서 독서량이 13권 이상16권 미만인 학생 수는 그 계급의 상대 도수가 0.10이므로, 이 계급에 속하는 학생은 전체의 10%이다. 또 상대도수의 합은 항상 1임을 알 수 있다.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오른쪽 표는 윤진이네 반 학생들이 1학기 기말 고사에서 받은 전과목 성적의 평균을 조사하여 나타낸 것이다. 각 계급의 상대도수를 구하여 표를 완성하고,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. (1) 평균 성적이 80점 이상 90점 미만인 학생은 전체의 몇 %인가? (2) 평균 성적이 90점 이상인 학생에게 우수상을 주려고 할 때, 우수상을 받 는 학생은 전체의 몇 %인가?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
2. 상대도수와 누적도수 181 □ |
|
상대도수의 분포표도 히스토그램이나 도수분포다각형과 같은 모양의 그 래프로 나타내면 자료의 분포를 쉽게 알아볼 수 있다. 상대도수의 분포표를 그래프로 그릴 때에는 가로축에 계급의 끝 값을 차례로 적고, 세로축에 상대도수를 적어 히스토그램이나 도수분포다각형과 같은 방법으로 그린다. 예를 들어, 앞의 [표 1]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. |
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
|
어느 제과 회사에서 소비자 200명을 대상으로 소금의 양을 달리한 50 g 짜리 과자 중 가장 맛있는 것을 선택하도록 하는 조사를 하였다. 소비자가 선택한 과 자에 들어 있는 소금의 양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을 때, 물음에 답하여라.
(1) 각 계급의 상대도수를 구하여 위의 표를 완성하여라. (2) 오른쪽 모눈종이 위에 상대도수의 분포다각형 모양의 그래프를 그려라. |
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
|
오른쪽 그림은 희진이네 반 50명의 하루 평균 통화 시간을 조사하여 상대도수의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.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. (1) 평균 통화 시간이 15분 미만인 학생은 전체의 몇 %인가? (2) 계급값이 8분인 계급에 속하는 학생 수를 구하여라.
|
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
□ 182 Ⅴ. 통계 |
85회 이상 90회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초등학생: 중학생: 이다. |
도수의 합계가 서로 다른 두 집단의 분포를 비교할 때에 도수만을 비교 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므로 상대도수를 구하여 서로 비교한다. 다음 표는 초등학생 25명과 중학생 40명의 1분당 맥박 수를 조사하여 도수분포와 그 상대도수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.
1분당 맥박 수-[표 2]
위 표에서 85회 이상 90회 미만인 계급의 상대도수는 따라서 이 계급에서는 상대적으로 초등학생이 더 많음을 알 수 있다. 한편, [표 2]의 상대도수의 분포표를 분포다각형 모양의 그래프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다. 이때,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맥박수가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.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다음은 A 중학교와 B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여름 방학 기간 동안 봉사 활동 을 한 시간을 조사하여 나타낸 표이다. 표를 완성하고, 물음에 답하여라.
(1) 상대도수의 분포다각형 모양의 그래프를 모눈종이 위에 그려라. (2) 봉사 활동 시간이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2. 상대도수와 누적도수 183 □ |
|
|
|
오른쪽 표는 어느 중학교 1반과 2반 학생들 중 중간 고사 수학 성적이 80점 이상인 학생 수를 나타낸 것이다.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상대도수의 값을 반올림 등으로 어림하여 나타내면 그 합이 |
주사위를 던지면 어느 눈이 가장 많이 나올까?
주사위를 던져 나오는 눈의 수를 조사하여 도수와 상대도수의 분포표를 만들
한 모둠에 1 각 모둠별로 가위바위보를 하여 이긴 사람부터 주사위를 던진다. 이때, 주 사위를 던지는 횟수는 각 모둠별로 2 3 도수를 이용하여 상대도수를 구한다. 4 주사위의 눈이 가장 많이 나온 눈과 가장 적게 나온 눈의 수를 찾고, 상대
도수의 차를 알아본다.
선거에서 어느 후보의 지지율, 고령 인구의 비율 등 전체 자료에 대한 비율이 의미를 갖 는 자료를 모둠별로 조사하고, 그 결과를 발표하여 보자.
로 차지한 쪽수를 조사한 표이다. 이로부터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단어의 분포를 짐작할 수 있다. 이때, 상대도수는 반올림하여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까지 구한 것 이다.
준비물 활동 방법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□ 184 Ⅴ. 통계 |
2 |
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2 |
누적도수 |
⇋ 익힘책 193쪽~ 195쪽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새로운 용어 누적도수 |
학습 목표 누적도수의 분포를 이해하고, 이를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.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100 m 달리기 기록을 도수분포표로 정리하면 각 계급의 도수는 잘 나타나지만, 특정 선수의 기록이 빠른 쪽에서부터 대략 몇 째 번에 속하는지 알기는 쉽지 않다. 이럴 때에는 첫 계급부터 그 계급까지의 도수의 합이 편리하게 쓰인다.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누적도수 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아래 표는 어느 영화의 관람객 수를 개봉 후 일주일 단위로 집계한 것이다. 개봉일부터 처음 몇 주 동안의 전체 관람객 수를 알아보자.
탐구 1 개봉일부터 처음 3주 동안 영화를 본 관람객 수는 모두 몇 명인가?
탐구 2 위 표에서 빈칸을 채워 보고, 개봉일부터 처음 7주 동안 영화를 본 관람객 수는 얼마나 되는지 구하여 보자.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탐구 활동의 표에서 개봉일부터 처음 2주 동안의 관람객 수는 200 + 240 = 440(만 명) 처음 3주 동안의 관람객 수는 200 + 240 + 160 = 600(만 명) 처음 4주 동안의 관람객 수는 200 + 240 + 160 + 100 =700(만 명) …… 처음 8주 동안의 관람객 수는 200 + 240 + …… + 30 = 900(만 명) 임을 알 수 있다.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2. 상대도수와 누적도수 185 □ |
마지막 계급의 누적도수는 도수의 총합과 같다.
|
이와 같이 도수분포표에서 각 계급의 도수나 상대도수를 알아보는 대신
어느 계급 미만에 속하는 도수를 알아볼 경우가 있다. 이 경우에는 처음
계급의 도수부터 해당 계급까지의 도수를 더한 것을 구하면 된다.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
소수는 에서 가지는 수, 즉 약수의 개수가
|
오른쪽 표는 100 이상 700 미만의 수 중에서 소수의 개수를 조사하여 만든 도수분포표이다.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
첫째 계급의 왼쪽 끝은 누적 도수가 을 찍는다. |
누적도수의 분포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.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
□ 186 Ⅴ. 통계 |
|
앞의 누적도수의 그래프는 100 m 달리기 기록이 빠른 쪽부터 나타내었으므로 달리기 기록이 빠른 쪽에서 몇 째 번인지 아는 데 편리하다. |
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
|
다음은 지킴이가 사는 마을에서 지난 주 가구당 배출한 쓰레기의 양을 조사하여 만든 도수분포표이다. 물음에 답하여라.
(1) 누적도수를 구하여 표를 완성하고, 모눈종이 위에 누적도수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그려라. |
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
|
오른쪽 그림은 은수네 반 학생들이 등교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조사하여 누적도수의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. |
||||||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
2. 상대도수와 누적도수 187 □ |
|
|
|
|
|
|||
1. 도수분포와 그래프에서 배운 내용을 그림으로 정리하여 보자.
|
|||
수행 과제 |
|||
2. 상대도수와 누적도수에서 배운 내용을 생각해 보면서 중요한 내용이나 인상 깊었던 부분을 그림, 글 등으로 자유롭게 표현하여 보아라. |
|||
|
|||
□ 188 Ⅴ. 통계 |
|
|
|
함께 하는 수학 여행
컴퓨터로 자료를 정리하고 평균을 구할 수 있다
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하여 평균을 계산하여 보자. 다음은 어느 중학교 하고 평균을 구하는 과정이다.
1. 도수분포표를 작성하고 계급값을 구한다. 도수분포표는 각 칸에 직접 작성하여 넣는다. 이때, 도수의 합계는 도수에 해당하는 칸을 마우스로 끌 어 메뉴 바에서 기호 는다. 또 계급값은 맨 처음 칸인 ‘ 끌면 자동 계산된다.
2. (계급값) (계급값) ‘ 자동 계산된다. 그리고 그 합은 해당하는 칸을 마우스로 끌고 메뉴 바에 서 기호
3. (계급값) 구한다. 평균은 계산 식 ‘ 따라서 이 학교 학생들의 주말 평균 인터넷 사용 시간은
이 외에도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자료를 다양한 그 래프로도 나타낼 수 있다. |
||
|
||
함께 하는 수학 여행 189 □ |